ECODESIGN online PILOT

E: 처분 집약

개선 <-

기본 유형 E의 개선 목적 및 전략
(처분 집약 제품)

대체 물질을 사용하라.

물질 선택에 따라 제품 폐기 단계에서의 재활용 또는 처리에 요구되는 투입(input)은 크게 달라진다. 대체물질을 선택하여 처분에 대한 투입(input)을 줄일 수 있는가?

-> 적절한 물질 선택

목표: 환경적으로 건전한 물질, 재활용된 물질, 재생가능한 물질 등을 사용함으로써 환경 영향 저감


제품의 사용 연장

제품(및 부품)의 긴 서비스 수명을 목적으로 한 설계에 의해 제품의 폐기를 늦출 수 있다. 이는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부품에 특히 중요하다. 왜냐하면 재활용하기 어렵거나 처리에 많은 투입물을 요하기 때문이다. 제품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합리적인가? 수리를 통해 제품의 조기 처분을 억제할 수 있는가?

-> 제품 내구성 향상

목표: 치수화, 표면 설계 등을 통한 내구성 향상

-> 수리성 개선

목표: 부품에 대한 접근성(해체, 교환 등) 개선


해체와 재활용

제품의 부품이 더 많이 재사용 될수록 그리고 더 쉽게 물질이 재활용 될수록 더 적은 물질이 처분될 것이다. 즉 처분에 필요한 투입(input)은 감소될 것이며, 제품에 포함된 자원은 재사용되거나 재활용될 것이다. 이와 관련해서 설계는 부품과 물질을 재사용하는 것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. 왜냐하면 이런 접근은 부품구조의 파괴를 막고 그로 인해 각 부품이 가치를 보존하기 때문이다. 물질을 재활용할 수 있는가? 이런 목적을 위해 부품 해체 또는 서로 다른 물질들을 분리하는 것이 필요한가?

-> 해체성 개선

목표: 부품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고 해체를 쉽게 함(신속성 등)

-> 제품 부품의 재사용

목표: 부품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(접근성, 재제조 등)

-> 물질 재활용

목표: 물질 재활용을 가능하게 함(분리, 라벨링 등)

top Design & copyright TU, Institute for Engineering Design - ECODESIGN